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9강 – PLEX 미디어서버

By |2020-05-07T13:46:49+09:002월 1st, 2019|Media Server|

이번 포스트는 PLEX를 Ubuntu 리눅스에 설치해 봅니다. PLEX LOGO 클릭하시면 PLEX 웹사이트로 연결됩니다 PLEX는 개인미디어서버 플랫폼입니다. 이미 꽤나 유명한만큼 NAS에서는 MUST HAVE IT 이겠죠? PLEX를 설치하면 NAS는 미디어서버가 되고, 내외부에서 다른 디바이스들을 통해 스트리밍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음악은 멜론처럼 스트리밍으로 들을 수 있고, 영화도 넷플릭스처럼 스트리밍으로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8강 – FTP 서버 설치

By |2020-05-07T13:46:12+09:001월 30th, 2019|File Server|

OwnCloud를 설치하고 나면, 외부에서도 쉽게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으므로 FTP사용성이 최근에는 극히 떨어지긴 하나 FTP는 단순한 프로토콜로 더 빠른 속도로 업/다운로드를 할 수 있으므로 FTP는 여전히 유용한 통신방식입니다.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는 파일질라(FILEZILLA) 그리고 국산 알FTP도 있습니다. 또 휴대폰에도 FTP어플이 많습니다. 우리는 NAS에 FTP서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7강 – Ubuntu 리눅스 설치하기

By |2020-05-07T13:45:33+09:001월 28th, 2019|Ubuntu Linux|

이번 강의는 순서와는 맞지 않지만, Ubuntu 리눅스를 설치해보는 포스팅 입니다. 처음 Ubuntu 리눅스 NAS에 대해 포스팅을 시작했던 이유는 리눅스에 어느정도 도전하고자 하는 분을 위한 것이었는데 생각해보면 설치 및 파티션 부터 잘못 시작하면 몇번씩 지웠다를 반복하며 시간을 낭비하게 됩니다. 이에 조금 도움을 드리고자 Ubuntu 리눅스 설치과정을 함께 해보고자 합니다. 다행히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6강 – 디스크 드라이브 추가하기(Disk Mounting)

By |2020-05-07T13:44:50+09:001월 26th, 2019|Ubuntu Linux|

리눅스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추가하는 것을 포스팅 해봅니다. NAS에서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하드디스크를 추가 장착, 교체하는 일이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Ubuntu를 최초로 설치하는 시점에 마운팅시켜놓고 파티션시켜놓는 것이 가장 편하겠지만, 설치 이후라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먼저 BIOS상에서 장착된 하드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시스템에 인식되는지 확인 합니다. 그 다음, Ubuntu로 진입하여 fdisk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5강 – OwnCloud를 활용한 클라우드서버만들기

By |2020-05-07T13:44:14+09:001월 21st, 2019|File Server|

NAS라면 뭐니뭐니 해도 저장소 역할을 잘해줘야 하겠죠. 1강에서는 삼바서버를 통해 동일 네트워크에 있는 윈도우즈PC들이 자유롭게 NAS를 파일서버로 쓰는 법을 포스팅했습니다. 1강 바로가기 Click 하지만, NAS라면 동일한 네트워크 뿐만이 아니라 외부의 네트워크 즉 집 밖에서도 NAS에 자유자재로 들락거릴 수 있어야 진정한 NAS서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것은 OwnCloud 입니다.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4강 – LAMP설치 후 웹서버 구동하기

By |2020-05-07T13:43:35+09:001월 20th, 2019|Web Server|

이젠 LAMP가 설치되었으므로 본격적으로 웹서버를 구동해보겠습니다. 모든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웹 통신은 포트 80, 443으로만 이루어 집니다. 왜그러냐?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규약이며, 즉 모두가 지켜야 하는 약속입니다. 우리가 웹브라우져 주소창에 www.naver.com 또는 www.google.com 또는 www.amazon.com 어디를 접속하더라도 우리의 웹브라우져는 해당 웹서버의 포트 80,443포트만 접속합니다. 웹브라우져를 인터넷 익스플로러,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3강 – LAMP설치 on NAS

By |2020-05-07T13:42:48+09:001월 19th, 2019|Web Server|

LAMP설치 해 봅니다. 1. 한방 설치 2. 개별로 설치 아파치 먼저 설치해 봅니다. MySQL 설치합니다. php 설치합니다. php는 모듈이 엄청 많은데 아래 패키지를 설치하면 되고 다른 모듈들은 필요시 추가설치하면 됩니다. 이렇게 설치는 끝났습니다. Ubuntu 리눅스의 장점이 프로그램 설치가 이렇게 매우 쉽다는 것 입니다. 같은 리눅스이지만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2강 – 웹서버 on NAS 개념좀 잡고가기

By |2020-05-06T22:32:00+09:001월 18th, 2019|Web Server|

리눅스를 직접 NAS에 설치하여 자작NAS를 구축하는 분이라면, 웹서버 설치는 필수코스 입니다. 내용도 좀 많고, 개념도 여기서 확실히 잡지 않으면 초보 분들은 절대로 중급자가 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리눅스를 직접 설치까지 한 능력자라면 시간과 의지만 있다면 못할건 없죠! 리눅스는 최소한 돈달라고 하진 않으니깐....^^ 이번 포스팅은 NAS에 웹서버를 설치하시려는 분에게 매우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1강 – 삼바(SAMBA)파일서버

By |2020-05-07T13:41:30+09:001월 17th, 2019|File Server|

어렵게 어렵게 NAS조립이 완성되었다면, 이제는 활용을 할 차례 입니다. 우분투 LINUX를 NAS에 설치 후 보통 가장 먼저 하는 일은, 바로 삼바(SAMBA)를 설치하는 것 입니다. 삼바서버의 설치 및 간단한 활용은 어렵지 않으나, 깊히 파고들 수록 그 심오함에 훅 맛이 가는 것이 또한 삼바이기도 합니다. 일단, 삼바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설명드리겠습니다. [...]

네트워크 브릿지 on Dual LAN 환경

By |2020-05-07T13:40:44+09:001월 15th, 2019|Ubuntu Linux|

이번에 스마트 TV를 하나 장만하였습니다. 요즘 스마트TV는 인터넷에 연결하여 각종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넷플릭스 같은 앱을 통해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스마트TV는 유선랜은 물론 Wireless랜까지도 지원합니다. 다만,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앱은 인터넷속도 환경에 따라 화질을 조정을 통해 끈기지 않는 영상을 유지하려 합니다. 하지만, 요즘 무선WIFI가 아무리 [...]

신축 아파트 – 모든 방을 기가랜으로 통합

By |2021-03-31T13:47:37+09:001월 13th, 2019|Linux NAS 조립|

아파트를 살게 되면 일반주택대비 차이점이 많은데 그중에서도 부러운것이 있다면 광선로에 기반한 FTTH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 입니다. 100M 인터넷은 이젠 기본에 기가인터넷도 주변에서 하도 광고를 해대니 별거 아닌것 같지만 일반주택은 FTTH를 서비스 받는데 제약사항이 많습니다. FTTH의 핵심은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가 균일하고 신호손실이 없어 통신 신뢰성이 높다는 [...]

기가비트 스위치 – Netgear GS116LP

By |2021-03-31T13:51:20+09:001월 13th, 2019|Linux NAS 조립|

Netgear GS116LP를 간락히 소개합니다. 아파트에 이사오게 되면서 방마다 인터넷 선로가 인입된다것 까지는 좋았으나 건설사에서 통신함에는 100Mbps 국산 저가 스위치만 달아주니 찾게된 제품 입니다. 적어도 14 Port가 있어야 했고 기가랜을 지원해야 하니까요,. 공유기만 있었도 되지만, 문제는 공유기는 유선 8 Port가 넘게 지원하는 제품이 없습니다. 더 많은 유선포트가 있어야 한다면 스위치가 [...]

Good Daddy의 NAS 조립 6부 – 조립완료/구동 OS 설치

By |2020-05-07T13:37:55+09:0011월 22nd, 2018|Linux NAS 조립|

모든 조립이 끝났습니다. 조립시간은 대략 2시간 30분정도 소요되었습니다. 이후에 테스트 시간이 많이 걸리지, 조립 자체는 그리 오래걸리는 작업은 아니었습니다. ITX용 부품조립이다보니 조립의 난이도는 중간정도? 조립이 완료되면 가장 먼저 할일은, 메인보드 BIOS에 진입하여 CPU와 메모리 그리고 디스크드라이브 등이 정상적으로 인식되며, 구매한 품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번에 경우 HDD WD WD80EZAZ가 제대로 [...]

Good Daddy의 NAS 조립 5부 – SSD와 HDD추가

By |2020-05-07T13:38:34+09:0011월 22nd, 2018|Linux NAS 조립|

첫째는 부팅 드라이브가 될  SSD 입니다. SSD 한번 써보신 분은, HDD를 부팅 드라이브로 다신 사용못하십니다. 이번에 구매 해본 것은 SSD이긴 하지만, 컨넥터 규격이 SATA가 아닌 M.2 타입입니다. 크기가 노트북용 메모리만해서 매우 작고 메인보드에 눕혀서 끼우기만 하니깐 공간확보용으로 좋습니다. 일전에는 SSD가 빠르긴 해도 상당히 고가였는데 최근에는 가격도 많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

Good Daddy의 NAS 조립 4부 – 파워, 쿨러 그리고 케이스

By |2020-05-07T13:37:12+09:0011월 22nd, 2018|Linux NAS 조립|

먼저 파워입니다. 파워는 가격이 비싼 부품은 아니만, 메인보드에 전원을 보내주는 부품로서 성능 보다도 품질이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경험적으로 파워로 인해 문제된적은 없었으므로 특정 선호 메이커는 따로 없으므로 적절한 파워용량이 확보되도록 결정합니다. 특히, 가정용 NAS를 직접 자작하려 한다면 전기세를 한번쯤은 누구나 고민하므로 파워규격을 어떻게 결정 할것인가 고민을 해볼 수 있습니다.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