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를 즐기자 04 – MAME 프론트 엔드 QMC2

By |2020-05-07T13:51:37+09:004월 29th, 2019|MAME & Netplay|

MAME 설치를 마쳤고, 조이패드같은 컨트롤러까지 연결했다면 아케이드 게임을 즐기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겁니다. 그럼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 바로 일반인들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게임 구동 방법 때문입니다. 가정용 게임기기들은 어린이들도 어렵지 않게 작동할 수 있게 개발되었습니다. 그런데, NAS에 아무리 멋진 MAME 에뮬레이터를 설치해 놓았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구동할 수 없다면, NAS의 주인은 [...]

NAS를 즐기자 03 – MAME bluetooth 조이패드 설정 8bitdo SF30 PRO

By |2020-05-07T13:51:09+09:004월 20th, 2019|MAME & Netplay|

게임기는 뭐니뭐니해도 컨트롤러(조정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원활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요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구동되는 모바일 게임들은 터치만으로도 게임을 즐길 수 있지만, 예전의 아케이드 게임은 별도의 컨트롤러가 항상 있어야 합니다. 게임성만을 고려시 컨트롤러는 조이스틱이 최고 입니다. 특히, 대전액션 격투에서는 조이스틱의 조정감을 따라올 컨트롤러는 없습니다. Typical Joystick 하지만, [...]

NAS를 즐기자 02 – MAME 에뮬레이터 설정

By |2020-05-07T13:50:35+09:004월 18th, 2019|MAME & Netplay|

이번 포스팅은 MAME의 설정을 진행합니다. Windows에서는 환경설정을 별달리 해줄게 없는데, 리눅스에서는 배포판과 버젼이 모두 달라서 그런지 몰라도 직접 작업을 좀 해주셔야 합니다. 좀 번거롭죠? Ubuntu 리눅스에 MAME를 설치하고 나면, 아래 2개의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usr/games/mame /etc/mame 여기서 /usr/games/mame는 실행파일 입니다. 그리고, /etc/mame는 환경설정 디렉토리 입니다. MAME의 설정을 조정하는 ini파일이 존재합니다. [...]

NAS를 즐기자 01 – MAME 에뮬레이터 설치

By |2020-05-07T13:50:07+09:004월 14th, 2019|MAME & Netplay|

NAS를 통해 이것저것 할 수 있는게 많은데, 보통 상시 전원을 켜놓는 녀석이다 보니 PLEX MEDIA같은 미디어 스트림서버도 좋습니다만, 어차피 거실에 나와있는 놈 게임기로 써보면 어떨까 고민해 봤습니다. 아이들이 있는 집은 플레이스테이션4나 XBOX360같은 게임기 어렵지 않게 구경하잔아요? 하지만, 리눅스 월드에서는 아직 게임은 그리 강한 영역이 아닙니다. 월광보합이라고 중국산 게임기세트가 있는데, [...]

NAS 메일서버10-마무리와 최종결론

By |2020-05-07T20:00:33+09:004월 11th, 2019|Mail Server|

메일 서버 포스팅의 마무리 입니다. 어떻셨나요? 정말 고생스럽지 않나요? 포스팅 하는 사람이나 읽은 사람이나 어려운 내용입니다. 아마 제 블로그를 검색하셔서 따라하시기 하는 분들 대부분은 중간에 포기하실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검색유입을 위해 올렸다기 보다는 나중에 제가 다시 설치할때 기억을 가다듬어 내기 위해서 올린 포스트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메일서비스는 이렇게 다양한 [...]

NAS 메일서버09-imap과 웹메일(Roundcube) 2부

By |2020-05-07T19:55:43+09:004월 10th, 2019|Mail Server|

오늘은 RoundCube를 완전히 마무리 하겠습니다. 브라우져창 주소에 웹메일 서비스 주소를 기입합니다. 제 주소는 mail.good-daddy.com가 제 웹메일 웹사이트 주소 입니다. (반복해서 설명드리지만, 웹메일서비스는 결국 웹사이트 입니다. 인터넷에서 접근하려면 당연히 도메인주소를 보유하셔야 합니다.) 현재는 최초 설치 단계이므로, "웹메일주소/installer" 라고 브라우져 주소창에 입력해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연속적인 설정창이 나타납니다. 1단계는 설치환경 [...]

NAS 메일서버08-imap과 웹메일(Roundcube) 1부

By |2021-08-23T15:11:19+09:004월 4th, 2019|Mail Server|

이메일을 쓰는 방법은 웹메일과 메일클라이언트를 통한 imap 또는 pop3 서비스입니다. 일반인들은 gmail, 네이버 메일, 다음 한메일 등으로 브라우져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읽는 방식인 웹메일의 형태를 주로 사용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기업이나 공공기관등은 아웃룩, IBM 로터스 Notes 등 메일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메일서버를 통해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면, 우리가 [...]

NAS 메일서버07-Lets Encrypt 설치

By |2021-08-23T15:07:10+09:004월 3rd, 2019|Mail Server|

Let's Ecrypt는 무료 공인인증서입니다. 무료 입니다. NAS유저로서 이보다 좋은 옵션이 있을까요? Let's Encrypt의 홈페이지 입니다. 한번 둘러 봐 주시는게 예의 아닐까요? https://letsencrypt.org/ 전 포스트에서 서론이 길었으니, 이젠 Let's Encrypt를 설치해 봅니다. Let's Encrypt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메인이 활성화 되있으셔야 합니다. Let's Encrypt는 아무리 무료라지만 인증서를 아무에게나 배포하는 것이 [...]

NAS 메일서버06-보안메일을 위한 암호화

By |2020-05-07T17:24:22+09:003월 26th, 2019|Mail Server|

흠...원래는 웹서버에 대해 심층적인 포스팅을 할때 인증서관련 포스트를 추가하려고 했으나, 메일서버를 제대로 구축하려다 보니 인증서를 손을 안댈 수 가 없내요. 메일서버 포스트 5강에서 Dovecot을 설정시 보안포트 993을 imap에 이용한다 했는데요. 그것을 imaps 서비스라고 합니다. imap의 풀네임은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이라면 imaps는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secured 입니다. POPs [...]

NAS 메일서버05-Dovecot 설치

By |2020-05-07T17:16:26+09:003월 13th, 2019|Mail Server|

메일서버 포스트가 벌써 5회째 연재입니다. 계속 서로다른 프로그램이 설치가 되면서 그것들이 서로 연계가 되니 복잡함이 이루말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은 중도에 포기하시게 될 줄 압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집중을 하셔서 꼭 성공해 내셨으면 합니다. 메일서버를 직접 다룰줄 알게 된다면, 웹사이트에서 메일서비스 제공을 통해 다른 어떤 사이트보다도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 [...]

NAS 메일서버04-Postfix Admin설치

By |2020-05-07T13:34:00+09:002월 10th, 2019|Mail Server|

금번 포스트는 Postfixadmin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Postfixadmin은 메일서버를 시스템유저기반이 아닌 Virtual 기반일때 사용하기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Virtual기반으로 메일서버를 운용하게 되면, 이메일 도메인 계정 및 사용자 메일계정은 MySQL에서 관리합니다. 다만, 이를 위해 시스템관리자가 일일히 도메인과 사용자 정보를 MySQL에 접속하여 관리해줘야 한다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겁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메일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를 [...]

NAS 메일서버03-메일함의 결정(가상메일함)

By |2021-08-23T14:55:50+09:002월 9th, 2019|Mail Server|

지금 이순간에도 수십만통의 메일 또는 광고메일, 스팸메일이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고 전달을 받습니다. 그러므로 실제 외부로 부터 메일이 도착하거나 스스로 메일을 발신할때 해당 메일은 어딘가에 저장되어야 합니다. 메일이 저장되는 장소를 메일함(mailbox)라고 합니다. 메일함은 mbox와 maildir 두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왼쪽의 유형이 mbox방식이고 maildir방식이 오른쪽입니다. 차이점은 mbox는 메일박스에 메일을 한번에 몽창 가둬서 [...]

NAS 메일서버02-POSTFIX 설치

By |2020-05-07T12:03:03+09:002월 8th, 2019|Mail Server|

Postfix LOGO 이번 포스트는 Postfix의 설치 입니다. Postfix는 1998년에 최초로 개발되었고,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받고 있습니다. Linux 및 Unix 플랫폼 기반의 소프트웨어 이므로, Windows는 지원하지 않습니다.(Ubuntu 리눅스 만세???) 리눅스에서는 본디 Sendmail이라는 SMTP 프로그램을 많이 써왔는데, postfix로 모두 대체되는 추세이고, postfix는 dovecot, Amavisd같은 다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들과 잘 [...]

NAS 메일서버01-개요 및 준비사항

By |2020-05-07T13:48:10+09:002월 7th, 2019|Mail Server|

NAS를 통해 메일서버를 구현을 시작해 봅니다. 시작에 앞서, 메일서버란 무엇이고 어떤 용도에 써야하는지 짚어 보고자 합니다. 메일서버가 있다면,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을 활용하여 그룹메일을 활용하여 기업, 협동조합 및 여타의 단체와 같은 소속원들에게 이메일계정을 배부하여 소속감을 높이고, 조직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수 있습니다. 메일서버를 통한 그룹메일관리는 시중에 벌써 월 1~2만원에 서비스되고 [...]

Good Daddy의 Ubuntu 리눅스 NAS 10강 – SSH터미널로 NAS접속

By |2020-05-07T13:47:31+09:002월 5th, 2019|Ubuntu Linux|

외부에서도 NAS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이번 포스트는 sshd를 설치해 볼 것 입니다. 과거에는 터미널접속시 텔넷(Telent)을 주로 사용했는데, 나이가 30대 이상이라면 아실지도 모르겠으나 예전에 한국통신 전화국에서 텔넷접속 단말기를 받아서 전화선 모뎀에 연결하여 하이텔, 나우누리, 천리안 등 BBS PC 통신시대때 접속방식이 바로 텔넷이었습니다. 텔넷은 이렇듯 익숙하지만, 네트워크패킷 스니핑같은 해킹에 매우 [...]

Go to Top